보도자료

⃞ 농어업·농어촌특별위원회(이하 ‘농특위’) 장태평 위원장은 지난 1.19.(목) 농민단체장과의 소통의 장으로 새롭게 마련한 제로라운지(Zero Lounge)에서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 (이하 ‘한종협’) 소속 농업인 단체장들과 간담회를 개최하였다.

 

 ㅇ 이날 간담회에는 한종협 상임대표 이학구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장, 이숙원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장, 박대조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장, 전병설 한국4-H본부 회장대행, 김기명 한국4-H청년농업인연합회장 등 한종협 소속 단체장들이 참석했다.

 

 ⃞ 농민단체장들과 편안한 분위기에서 농정 현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겠다는 농특위의 첫 발걸음이 시작된 것이다.

 

ㅇ 이학구 상임대표 등 단체장들은 국회 계류중인 양곡관리법에 대해 우려하면서, 쌀문제는 물론 농자재 가격상승, 농업소득 정체 등으로 농업의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고 토로하였다.

 

ㅇ 밀, 콩, 옥수수 등 주요 식량작물에 대한 자급률 확대를 위해 농특위가 노력해 달라고 요청하면서, 농민단체간 이견이 있는 이슈에 대해서도 농특위의 협의·조정기능이 충분히 발휘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.

 

 ⃞ 장태평 위원장은 현재의 농업문제는 사회의 구조적인 변화와 기술혁신으로 인한 변화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언급하였다.

 

 ㅇ 이를 위해 농업인 단체장들과 함께 농업에 대한 과감한 인식전환과 첨단 과학기술 적용 등 농업문제의 혁신적인 해결방안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를 지속하겠다고 밝혔다.

 

 ㅇ 이 자리에 참석한 농민단체장에게도 “국민이 공감하는 행동”을 요청하면서 「미래를 보는 농업」을 같이 실천해 가자고 당부하였다.

 

 ㅇ 또한, 농특위 사무국과 농민단체 사무총장단간 협의체를 구성하여 실무선에서 창의적이고 전향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하고, 적극 협력하여, 분과위를 통해 해결을 모색하는 체계를 만들자고 제안했다.

 

 ⃞ 농특위 관계자는 앞으로 농업의 미래를 함께 논의하기 위해 농축산연합회, 농민의 길 등과 연속적으로 소통의 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