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도자료

□ 대통령소속 농어업‧농어촌특별위원회(이하 농특위, 위원장 장태평)는 3월 22일 제4기 농어촌분과위원회 위원을 위촉하고 회의를 개최했다.

 ㅇ 농특위는 3개의 분과위원회(농어업분과, 농어촌분과, 농수산식품분과)를 구분하여 설치하고, 각 분과위원회는 분과위원장 1명을 포함하여 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.

 *「농어업·농어촌특별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시행령」 제3조(분과위원회의 설치 및 구성)

 ㅇ 제4기 농어촌 분과위원들은 농산어촌 분야의 다양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겸비한 농어업·농어촌단체, 학계 및 전문가 등 총 18명으로 구성되었고 위원회 업무수행을 위한 여론 수렴과 국내외 조사연구, 기타 위원회가 위임한 사항을 수행할 예정이다. 위원들의 임기는 3월 15일부터 내년 3월 14일까지 1년간이다.

 

□ 이날 농어촌분과위원회는 『농어촌 공공디자인 적용 확대 방안』,『일자리와 삶과 쉼이 보장되는 스마트 농어촌 실현 구축』등 2건의 아젠다에 대해 논의했다. 

 ㅇ 첫 번째 아젠다인『농어촌 공공디자인 적용 확대 방안』과 관련하여 분과위원들은 지자체가 ‘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지역계획’을 수립하지 않고 있으므로 통합지침을 마련하여 농촌 공간의 특성과 고유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 의견을 같이 하고 개선방안에 대해 논의했다. 

 

 ㅇ 두 번째 아젠다인『일자리와 삶과 쉼이 보장되는 스마트 농어촌 실현 구축』과 관련하여 위원들은 농어촌 지역의 지속적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농어촌 소멸 문제에 대해 공감하고 4차 산업혁명 기술 도입으로 농어업인의 안정적 소득확보와 삶의 질 향상 방안에 대한 집중적 논의를 이어갔다. 

 ㅇ 이외에도 위원들이 제안한 『농어촌형 스마트학교 복합시설 구축 및 운영』,『청년세대 농촌 정착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 지원체제 구축 방안』에 관해서도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졌다.

 ㅇ 아울러 『농어촌 삶의 질 지표 개선 및 운영체계 구축』연구용역 중간보고 결과를 듣고 농특위와 삶의 질 위원회의 통합에 따른 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서도 위원들 간 논의가 진행되었다. 

 

□ 장태평 위원장은 농어촌분과위원회가“농어업·농어촌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혁신을 위해 현장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각 위원의 전문성에 기반하여 위원회 활동을 활발히 전개할 예정이다.”라고 밝혔다.